Information : 개인정보 유형, 종류
개인정보 이전 포스팅과 같이 개인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의 살아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이며 이를 통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이며, 정보통신망법의 생존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 의하여 특정한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이다.(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경우 포함) 하지만 이렇게 일반적인 개인정보를 제외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정보등과 같이 범주화 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분 유형 일반정보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생년월일, ID/PW, 가족관계 등 신체정보 얼굴, 홍채, 지문, 음성, 키, 몸무게 등 개인/금융 소득, 신용카드 번호, 계좌번호, 부동산 내역 등 법적 범죄기록, 재판기록 등 위치정보 IP Address, GPS에 의한 위치정보 영상정보 CCTV를 통해 수집된 정..
IR과 DF의 차이점
Incident Response, Digital Forensic의 차이점 Incident Response 해킹 등 침해사고 발생 시 대응하는 일련의 행위 서비스 유지가 최우선 기밀성, 가용성, 무결성 신속대응, 정밀대응, 재발방지, 복구기능 행위자(공격자)의 행위 재구성에 초점 해킹기법 등에 대한 지식 필수 확인된 취약점 보완/제거의 과정 필수 보고서의 공유를 통한 사후 활용 Digital Forensic 디지털기기를 활용한 범죄 수사 증거가 법정에서 활용되도록 하는 모든 과정 증거 요구사항 충족이 최우선 정당성, 무결성, 보관성, 신속성, 재현성 현행 관련법에 대한 지식 필요 분석대상 사용자의 행위 증명에 초점 해킹기법 등의 지식 불필요 증거자료 이므로 사후 활용 불가